본문 바로가기

over the silver screen

[BIFF2012] 부산에서 만난 영화 2-아시아 영화의 창

<베이징 양아치>(Beijing Flickers) / 장위엔 / 아시아영화의 창

 

 

 

중국영화 6세대 감독으로서 주목받았던 장위엔의 2012년 신작은 중국의 청춘들의 문제를 돌아본다. 애인이 돈 많은 남자에게 떠나서 실연당한 남자, 호텔 주차요원이지만 보스에 굽신거려야만 하는 남자, 여성의 삶을 살고 싶어하는 남자 그리고 밴드에서 노래를 부르는 여자 등이 등장하며 각자의 삶의 고통을 호소한다. '나는 청춘이고 그래서 너무나도 아프다'라고 외쳐대는 이 영화의 스타일은 안타깝게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깊이도 느껴지지 않고 그 또래에서 느껴지는 뜨거움도 느껴지지 않는데 힘들다고 외쳐대는 모양새만 둥둥 떠다니는 듯 보인다. 중간중간 시를 읊조리는 방식은 겉멋으로 보여지고 애써 희망을 던져주려는 엔딩마저도 상투적이라는 인상을 거둘 수가 없었다. 올해 부산에서 만난 영화 중 가장 기대치에 못 미쳤던 아쉬운 영화. (5/10)

 

 

<화부>(The Cremator) / 펑 타오 / 아시아영화의 창

 

 

 

화장터 화부의 삶. 버석거리는 소리가 날 정도로 메마른 그의 삶과 그 고독이 이끄는 삶은 슬쩍 보기에도 무거워 보인다. 고독은 고독을 알아보는지 실종된 언니를 찾기 위해 마을로 들어온 여인과 그는 어느새 서로의 고독을 위로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생닭의 목을 비틀고 입으로 물어뜯어 그 피를 바치는 중국의 장례의식 등이 오전 10시에 보기에 적합하지는 않았으나 버석거리는 삶이 화면 전체를 장악하고 그 무게감을 보여준 영화였다. (6/10)

 

 

<희망의 나라>(The Land of Hope) / 소노 시온 / 아시아영화의 창

 

 

대지진과 그로 인한 원전 폭발 후 여전히 희망을 찾아내려하는 일본 어느 마을의 이야기는 결국 눈물을 펑펑 쏟게 만들었다. 그 곳이 자손을 낳고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희망의 땅이라고 여겼을 노년의 부부는 대재난으로 인해 모든 것이 망가진 후에도 희망의 끈을 놓치 않는다. 아들 부부와 곧 태어날 손주만은 희망의 나라에서 다시 시작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그럼에도 그들은 자신들이 지켜냈던 희망의 땅을 포기하려 하지 않는다.

재난 영화 속 상황이 더 이상 영화 속 허구만이 아닌 세상에 살고 있는 현재, <희망의 나라>의 현실은 더 이상 다른 곳의 이야기가 아니다. 재난영화를 볼 때 그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휴머니즘이 빛나는 순간에 어김없이 눈물이 흘렀던 것처럼, 외면할 수 없는 현실같은 이 영화 속 인물들을 보면서도 끝까지 그 희망을 놓치 못하고 인간의 미를 지켜내는 모습에 눈물이 흐르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 전반에 흐르는 구스타프 말러의 심포니가 중반 이후 휘몰아치는데 그것이 감동을 배가해 눈물이 펑펑 났다. 말러의 음악은 최근에 본 연극 <아워 타운>에도 사용됐는데, 이 멜로디가 인간의 삶에 대한 감동을 일깨우는 데 잘 어울리는 듯 하다. (10/10)

 

 

<10+10>(10+10) / 허우샤오시엔 외 / 아시아영화의 창

 

 

부산에 오면 한두편씩 꼭 보게 됐고 그래서 애정이 생긴 대만 영화. 올해는 대만감독 20명의 종합 선물 세트를 받았다.

대만 건국 100주년을 맞아 대만 감독 20인이 모여 각각 5분 남짓의 영화를 완성했다. 대만의 과거와 현재, 구세대와 신세댸의 모습, 유머와 호러, 스릴러와 판타지가 모두 모인 작품이다. 5분의 시간에 두세개의 시퀀스로 짧고 굵게 '대만 그 자체'를 담아내려한 메시지가 힘있게 전달된다. (9/10)

 

 

<가족의 나라>(Our Homeland) / 양영희 / 아시아영화의 창

 

 

 

재일교포 2세인 양영희 감독은 조총련에 속한 아버지로 인해 평양에 살게 된 그녀의 세 오빠들과 그런 가족사를 다큐멘터리로 만들어 소개했었다. 이번에 감독은 그런 가족사를 반영한 극영화 <가족의 나라>를 선보였다.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도 정치가 있다. 각자의 역할이 있고 보이지 않는 법칙이 있다. 그것을 거스르자면 심적으로 고통이 따른다. 가족끼리 행복하게 잘 살면 좋겠다만 정치와 이념이 비집고 들어온 이 가족에게는 어쩌면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할 아픔이 있다.

눈물을 머금고 북으로 돌아가는 오빠를 보내는 것을 보며 관객인 내가 왜 저렇게 살아야 하나, 이념이란 것은 왜 저런 비극을 만드는가를 원망하는 사이, 양영희 감독의 자화상과도 같은 미에는 오빠가 그토록 갖고 싶어했던 백만원이 넘는 여행 트렁크를 사들고 시위하듯 횡단보도를 건넌다. 함축적이고도 강렬한 엔딩. 그 여운에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게 만든다.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