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ver the silver screen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벼랑 끝에서 가치 있는 삶에 눈 뜬 남자의 이야기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Dallas Buyers Club

 

벼랑 끝에서 가치 있는 삶에 눈 뜬 남자의 이야기

 

 

(매튜 맥커너히)은 로데오 카우보이이자 도박꾼이다. 약물과 섹스에 절어 사는 그에게 어느 날 HIV 감염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진단이 떨어진다. 남성으로서의 삶에 거침없었던 그에게 여생이 30일이라는 시한부 판정은 수긍하기 어렵다. HIV 감염자라는 이유로 그간 자신이 구축했던 삶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게 됐지만 이대로 삶을 놓아버릴 수는 없다. 우여곡절 끝에 멕시코에서 자신의 질병에 도움이 될만한 약품을 소개받게 되는데 그 약품은 미국 내 유통이 금지된 약품이다. 수긍할 수 없는 원칙 아래 자신의 삶을 무기력하게 내동댕이칠 수 없는 론은 자신의 방식으로 약품을 밀수하고 HIV감염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유통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약품 공급 채널을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이라고 부르게 된다.

새롭게 확산되는 질병인 HIV감염에 대처하기 위해 신약 AZT를 개발하고 감염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진행하던 제약 업체와 식약청(FDA)은 번번이 론의 활동에 제동을 건다. 겉으로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승인되고 처방된 약품만을 공급하겠다는 입장을 보이지만 그 안에 영리 추구를 목적으로 한 이권이 개입됐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생존해 내기 위해 시작된 론의 대응은 제약 업체와 국가 기관을 향한 저항과 법정 분쟁으로 커지고 그 과정에서 론의 삶은 진정한 가치를 찾아가게 된다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은 위기를 만나 삶의 모든 것이 무너지는 순간을 만난 남자가 자신을 추스르고 능동적으로 현실에 대처하고 가치 있는 삶을 찾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동시에 제약사와 식약청(FDA), 의료계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부당한 현실을 꼬집는다.  

 

로데오, 그룹섹스, 약물 복용 등으로 방탕한 삶을 사는 론 우드루프(매튜 매커너히)는 그 모든 것이 남성인 자신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 하지만 방탕한 삶이 남긴 HIV 감염이라는 재는 남성으로서 구축했던 사회적 입지까지 재로 만들어버린다. 마초에 호모포비아를 가졌던 남자가 스스로 멸시했던 사람들의 상황에 처한 것이다. 더군다나 병원에서는 생이 30일 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 절망의 순간에 론이 선택한 것은 현실 수긍이 아니라 '이대로 죽을 수는 없다''어딘가에 답이 있다면 주저할 이유가 없다'의 삶의 방식이다.

미국 의사 면허를 잃고 멕시코에서 활동중인 의사로부터 미국 제약 회사에서 개발하고 임상 실험 중인 약품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있다는 약품을 소개받았을 때 그에게는 더 이상 주저할 이유가 없었다. 가령 '감기에 약을 먹으면 1주일, 안 먹으면 7일을 고생한다'는 식으로 약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누군가가 어딘가에서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이 남지 않는 특효약을 발견한다면 그것을 사용하는 데 주저할 이유가 있겠는가. 하물며 HIV 감염이라는 생사를 가르는 질병 앞에 놓인 사람이라면 특효약에 대해 더욱 더 간절할 것은 분명하다. 납득할 수 없는 원칙을 앞세우는 FDA와 제약 업체, 그에 휘둘리기만 하는 의료계에 무기력하게 자신을 맡길 수는 없는 일일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론의 대처와 투쟁은 그의 삶의 방향을 방탕하게 즐기는 삶에서 가치 있는 삶을 사는 것으로 바꿔 놓는다.

 

 

잘 알지 못하는 분야, 권위와 기득권이 만들어 놓은 것들에 우리는 의문 부호 하나 없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어쩌면 대규모로 재단된 사회 구조에 단련된 결과일 것이다. 약이라는 것도 결국 임상 실험을 거쳐 유통이 되지만 늘 부작용의 위험이 도사린다. 화학적 약품에 의해 오히려 몸이 시들고 있다는 증언들이 낯설지도 않다. 영화의 배경이 된 80년대 중반, 새롭게 확산된 질병에 해법을 찾아야 했던 것은 제약 업체와 의학계에도 난제였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그 질환에 걸린 사람이 개발 중인 약의 실험 대상이 되어야만 했다. 그 실험이 완성되어야 막대한 물량을 투입해 개발한 약품의 승인과 유통이 가능하니 약을 위해 환자가 실험 도구가 되는 아이러니가 성립하게 된다. 그런 제약사가 벌이는 국가기관을 향한 로비와 결탁이 결국 환자들에게 치료의 기회를 박탈할 수 있음을 영화는 꼬집는다. 인간이 스스로의 건강과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몸에 맞는 치료약을 찾아내어 그것을 공유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은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법으로 균형을 잡아주기 어려운 영역이기도 하다. 어찌됐든 론은 자신의 비극적인 상황 앞에서 능동적인 해결책을 찾으려 했고 저항했으며 싸워나가려 했다. 살아내기 위해 투쟁해야만 했던 험난한 삶이었지만 그 사이 그는 30일이었던 자신의 여생을 7년으로 연장했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야 했음을, 가치 있는 삶이란 어떤 것임을 깨닫게 됐다.

 

 

 

이 영화의 캐릭터 구축은 꽤 탄탄하다. 극한 상황에 처한 캐릭터의 감정을 부풀리거나 인위적으로 꾸며 감동을 쥐어짜는 게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범위 안에서 캐릭터를 탄탄하게 다진다. 힘을 뺀 채 캐릭터 자체에 현실적인 면을 부각시킨 것이 영화를 담백하게 만든다. 

마초에 호모포비아를 가진 남자가 HIV 감염자가 되면서 동성애자들과 동병상련의 입장이 되고 그들에 대한 편견을 서서히 걷어내는 과정도 설명하려 들지 않고 자연스레 스며들게 한다. 트랜스젠더로 등장하는 레이온(자레드 레토)이 병원에서 론을 만나게 되고 그의 사업 조력자가 되는 것과 레이온을 통해 서서히 론의 편견이 사라져가는 과정도 자연스럽다. 의사 이브(제니퍼 가너)가 론과 레이온의 세계에 들어오게 되는 것도 작위적이지 않다. 담백하게 담으면서도 감칠맛이 나는 캐릭터를 구축한 덕에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인다.

 

 

론을 연기한 매튜 맥커너히와 레이온을 연기한 자레드 레토의 경우 오스카 수상이라는 골인 지점까지 오기 전에도 많은 상을 수상하며 연기에 대한 상찬을 받았다. 론과 레이온이라는 캐릭터는 어찌 보면 영화제에서 연기상을 수상하기에 맞춤인 캐릭터이기도 하다. 론이라는 캐릭터는 HIV 감염 후 자신의 권리와 생명을 위해 투쟁하고 싸워나가는 모습이 <필라델피아>의 앤드류(톰 행크스)를 연상시키고, 문외한이었던 분야에 대한 문제 의식이 싹터 열정적이고 능동적으로 뛰어드는 모습은 <에린 브로코비치>의 에린(줄리아 로버츠)을 연상시킨다. 톰 행크스와 줄리아 로버츠 역시 각각의 영화로 오스카 주연상을 수상했다. 레이온 캐릭터는 오스카 주연상을 수상했던 <거미 여인의 키스>의 몰리나(윌리엄 허트)가 연상되는 외모와 연기를 보여주는데 무엇보다도 론을 각성시키는 존재감 있는 모습으로 시선을 뗄 수 없는 연기를 보여준다. 탄탄하게 구축된 '오스카 수상 맞춤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 낸 두 배우의 수상으로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은 10년 전 <미스틱 리버> 이후 처음으로 한 영화가 오스카 남우 주,조연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기록되었다.